과거 신문학과, 신문방송학과 등의 학과명은 언론정보학, 커뮤니케이션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등으로 많이 변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배우는 내용들은 다 비슷비슷하다.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 역시 이름은 올드해 보일 수 있지만, 다른 학교의 언론정보학, 커뮤니케이션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보면 된다.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 커리큘럼 소개
https://www.skhu.ac.kr/domc/1643/subview.do
교육과정
www.skhu.ac.kr:443
교육과정을 보면, 배우는 과목마다 전공능력 구분이 되어 있다.
좋은 구분이나, 신문방송학전공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에게는 약간 불친절한 구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배우는 내용을 중심으로 4가지 분류를 통해 설명하려고 한다.
- 커뮤니케이션/미디어
- 저널리즘
- 문화
- 광고, 영상, 연극, 사진, 만화, 애니메이션
물론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문화를 각각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각 분야별 소속 과목이 달라질 수 있다.
엄밀히 따지면 광고, 영상, 연극, 사진, 만화, 애니메이션도 커뮤니케이션이자 미디어이자 문화이기 때문이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이 문화일 수 있고, 미디어가 문화일 수 있고 등등... 그래서 학교도 이러한 애매한 용어들 때문에 내용중심의 분류보다는 전공능력별 분류를 하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그런 복잡한 생각들을 빼고 내가 느끼기에 직관적으로 비슷한 느낌이 드는 수업들을 묶어 설명하려고 한다.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을 선택하려는 사람들,
혹은 신문방송학전공에서 뭘 배우는지를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다음 글부터는 위 4가지 분야에 대한 수업들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자주 묻는 질문
1.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에는 왜 컴퓨터 툴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실습 수업이 없나요?
다른 학교는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은 컴퓨터 툴을 다루는 실습 위주의 학과가 아니다.
애초에 그런걸 전공한 교수님도 없다.
나 역시 실제 수업에서 컴퓨터 툴을 이용하여 간단한 동영상을 만들거나 한 적은 있어도, 툴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배워서 무언가를 해 본 적은 없다.
실습수업을 원한다면, 학원을 다니거나 따로 알아서 공부하거나 성공회대 디지털콘텐츠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맞다.
성공회대 디지털콘텐츠전공 커리큘럼
https://www.skhu.ac.kr/domc/1647/subview.do
교육과정
www.skhu.ac.kr:443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은 기술을 배우는 느낌이라기보단 이론 중심의 실용학문을 배우는 느낌이다.
물론,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은 해당 전공을 선택한 학생만 쓸 수 있는 '매체실'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매체실에서 컴퓨터를 활용하여 프리미어 등 각종 툴을 쓸 수 있고, 프린트도 공짜로 할 수 있으며, 각종 촬영장비들도 무료로 빌릴 수 있다. (물론 매체실 운영비가 등록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학과에 비해 등록금이 비싸다. 등록금은 2023년 기준 한 학기당 380만원 정도로, 학교의 모든 전공 중 가장 비싼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콘텐츠전공처럼 툴을 다루는 방법을 하나하나 자세히 천천히 알려주는 수업은 없다는 점을 꼭 알고 있어야 한다.
이 점 반드시 오해가 없길 바란다. 전공 이름만 대충 보고 와서 왜 실습 수업을 체계적으로 배우지 않냐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정말 할 말이 없다.
2. 신문방송학과 졸업하면 무조건 기자나 언론인이 되나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라고 하면, 보통 거기서 뭘 하는지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서 비교적 기자나 언론인 할 거냐는 질문을 신문방송학과보단 적게 듣는 것 같다.
그런데 신문방송학과에 다닌다고 하면, 다들 기자나 언론인이 될 거냐는 질문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물론, 그쪽으로 진로를 결정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수업만 봐도 알겠지만, 저널리즘 분야만 배우는 것이 전혀 아님을 알 수 있다.
보통 신문방송학전공에 지원하는 분들의 자기소개서나 활동내용을 보면, 보통 PD, 기자, 아나운서, 언론인, 광고, 콘텐츠 쪽 종사자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꼭 그런 쪽 길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다.
특히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에는 문화기획, 문화정책, 예술경영 쪽의 인맥이 정말 풍부하다.
신문방송학전공만 띡 보면 대체 무슨 말인가 하겠지만, 성공회대 문화대학원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신문방송학전공 학부 수업에 참여하는 교수님들뿐만 아니라 그 외의 문화 관련 교수님들도 정말 많고, 홈페이지에는 자세히 나와 있지 않지만 교양이든 전공이든 학부 수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성공회대 문화대학원 홈페이지
https://www.skhu.ac.kr/sites/culture/index.do
문화대학원
www.skhu.ac.kr:443
또한, 의외로 대중음악 쪽 연구를 하시는 분들이 대거 몰려 있다. 인맥풀도 넓다.
김창남 교수님은 대중문화연구로 굉장히 유명하신 분이다. 한국대중음악상(KMA) 제정을 주도하며 1회부터 계속 심사위원장으로 활동하셨고, 민중가요 노래패 '노래를찾는사람들(노찾사)' 핵심 멤버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K-Pop 연구도 많이 하고 계시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보다 K-Pop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고 계시다.
신문방송학전공 교수님은 아니고 경제학전공 교수님이지만, 신현준 교수님 역시 K-Pop 연구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신 분이다. 한국 대중음악 연구 업적이 어마어마하셔서 해외 저자가 쓴 한국 대중음악 논문을 보면 죄다 신현준 교수님의 문헌이 인용되어 있다.
꽤 괜찮다 싶은 대중음악 관련 서적을 보면 김창남 교수님, 신현준 교수님께 감사함을 올리는 글들이 많거나, 추천사를 쓰셨거나 한다. 내부 사정은 자세히 모르지만, 어쨌든 그만큼 학계에서 인정받는 분들이란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부 홈페이지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정윤수 교수님 역시 문화 쪽에서 유명하시고 특히 클래식 평론, 스포츠 평론을 하기도 하셨다. 교수님 수업을 듣고 있으면 정말 알쓸신잡 보는 느낌이다.
뿐만 아니라 교수님들 연구실을 가 보면, 그냥 다들 음악 덕후시다. 전혀 안 그럴 것 같으신 분들도 연구실에 CD나 LP판이 빼곡하고, 비싼 스피커나 진공관 등 웬만한 음악 전공자들 못지 않게 풍부한 지식을 갖고 있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수많은 대중음악평론가나 라디오PD, 대중음악을 연구하시는 다른 교수님 등 교수님들의 인맥이 매우 상당하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관련 종사자들을 페이스북에 검색해보면, 죄다 교수님들과 페친이 되어 있거나 뭘 옛날부터 같이 하신 경우가 많다.
한국 대중음악 관련 수업도 교양으로 많이 열리는데 퀄리티가 정말 높다.
만약 대중음악 쪽 평론이나, 한국 대중음악 연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성공회대 신문방송학전공에 오면 좋을 것이다.
3. 수업 내용이 좌파 쪽에 치중되어 있진 않나요?
일부 사람들은 '성공회대' 하면 '좌빨 학교'다, '이단 학교'다 라는 인식이 많은 듯 하다.
그에 대한 오해를 풀기 위한 설명을 아래 하단 글에 적어 놓았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https://merong-ent.tistory.com/5
성공회대 인식
인터넷 카페에 올라오는 성공회대 관련 인식이나, 성공회대를 다닌다고 하면 자주 듣는 몇 가지 이야기들이 있다. 그 중 맞는 얘기도 있지만, 일부는 굉장히 실제와는 다른 이야기들도 많다. 그
merong-ent.tistory.com
학교에서는 한쪽 성향을 절대 강요하지 않으며, 자신만의 생각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는다.
저널리즘 관련 수업에서도 같은 내용을 다룬 두 가지 이상의 언론이나 기사를 비교하며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언론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정말 빡세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진다.
그럼에도 그쪽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 성향의 교수님과 학생들이 많다 보니, 일부 사람들은 한쪽 성향에 치우쳐 있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 수는 있을 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그런 성향이 곧 우리 학교의 정체성이라고 생각한다.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에서 우리 학교 같은 특색 있는 학교가 존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 성향 때문에 근거 없는 비판이나 불이익을 받을 이유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 색깔이 싫으면, 오지 않으면 된다. 혹은 논리적인 근거를 갖추어 비판하면 된다.
혹시라도 더 궁금한 사항이나 자주 들려오는 질문들이 있다면 수정증감하도록 하겠다.
'학업 관련 > 성공회대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회대 인식 (0) | 2023.02.02 |
---|---|
성공회대 학부 소개 (0) | 2023.02.02 |
댓글